비트코인 폭락 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MACD 지수
이게 대체 뭐고, 왜 이걸로 시장을 예측한다는 걸까요?
기술적 분석 초보도 이해할 수 있게, 오늘은 MACD를 아주 쉽게 풀어볼게요.
MACD란?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직역하면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발산.
: 가격의 방향(추세)이 강해지는지 약해지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예요.
한마디로 시장 속도계 같은 역할을 합니다.
MACD는 이렇게 계산돼요
단기선과 장기선이 만나는 그래프 도식화
MACD는 두 개의 이동평균선을 비교해서 만들어집니다.
구성요소 의미 일반적인 설정값
| 단기 이동평균선 (EMA12) | 최근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 | 12일 |
| 장기 이동평균선 (EMA26) | 전체적인 흐름을 부드럽게 반영 | 26일 |
| MACD선 | 단기선 − 장기선 | — |
| Signal선 | MACD선의 9일 평균 | — |
이 두 선의 교차를 보고 시장의 추세 전환 신호를 잡는 게 핵심.
MACD 해석법, 딱 이 네 가지만 기억하세요
상태 의미 해석
| MACD선이 Signal선 위로 돌파 | 상승 전환 (골든크로스) | 단기 추세 ↑ |
| MACD선이 Signal선 아래로 하락 | 하락 전환 (데드크로스) | 단기 추세 ↓ |
| MACD가 0선 위에서 움직임 | 전체적으로 상승장 | 매수세 강함 |
| MACD가 0선 아래에서 움직임 | 전체적으로 하락장 | 매도세 강함 |
그래서 뉴스에서 MACD 급락이라고 하면, 단기 추세가 약해지고 있다는 의미예요.
MACD 급락 = 폭락은 아니다
MACD는 미래를 예언하는 지표가 아니라,
과거 데이터로부터 추세를 수치화한 도구입니다.
“현재 상승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
“단기 모멘텀이 식고 있다”
이런 확률적 신호를 주는 거죠.
따라서 MACD가 꺾였다고 해서 반드시 폭락하는 건 아닙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 비트코인이 1개월 동안 계속 올랐다가 MACD선이 Signal선을 아래로 뚫는 순간이 나왔다면, 이건 단기 상승 피로 구간일 수 있습니다. 이때는
|
정리하자면
핵심 포인트 설명
| MACD = 이동평균선의 속도 차이 | 추세의 강도와 방향성 확인 |
| Signal선 교차 | 상승·하락 전환 신호 |
| 0선 위/아래 | 시장의 전체 흐름 판단 |
| 단독 사용 ❌ | RSI, 거래량과 함께 판단 |
📍요약: MACD는 폭락 예언서가 아니라
시장의 온도와 속도를 알려주는 체온계다.
다음 글 예고💡
👉 RSI 70 넘으면 진짜 팔아야 할까? 과매수·과매도 신호 제대로 읽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