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적금 vs 예금,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by 돈주워(Don Ju-wo) 2025. 10. 1.

은행 상품을 알아볼 때 가장 많이 접하는 것이 바로 적금예금입니다.

이름은 비슷하지만, 돈을 모으는 방식과 활용 방법은 조금씩 다릅니다.

초보자라면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할지 헷갈릴 수 있는데요.

오늘은 적금과 예금의 차이점, 각각의 장단점, 그리고 상황별 선택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적금이란?

적금은 매달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서 목돈을 만드는 상품입니다.

  • 특징: 정해진 기간 동안 매월 일정 금액을 불입
  • 예시: 매달 50만 원씩 2년간 적금 → 만기 시 원금 + 이자 수령
  • 장점:
    1. 강제 저축 효과 → 꾸준히 돈이 쌓임
    2. 소액으로도 시작 가능 (월 10,000원부터)
    3. 목표 자금을 만들 때 유리 (결혼 자금, 여행 경비 등)
  • 단점:
    • 중간에 해지하면 이자가 거의 없거나 줄어듦
    • 금리가 변동되더라도 계약 당시 금리에 고정

2. 예금이란?

예금은 일정 금액을 한 번에 넣어두고 이자를 받는 상품입니다.

  • 특징: 큰 금액을 한 번에 넣고 일정 기간 동안 맡김
  • 예시: 1,000만 원을 1년 정기예금 → 만기 시 원금 + 이자 수령
  • 장점:
    1. 목돈을 안전하게 굴리기 좋음
    2. 예금자보호제도로 1인당 5,000만 원까지 보호
    3. 중간에 일부 해지(중도 인출) 가능한 상품도 있음
  • 단점:
    • 일정 금액 이상이 있어야 가입 가능
    • 장기간 묶이는 자금이므로 유동성 떨어짐

3. 적금 vs 예금 비교표

구분                         적금                                                                           예금

납입 방식 매달 일정 금액 불입 목돈을 한 번에 예치
금리 보통 예금보다 높음 적금보다 낮은 편
목적 목돈 마련 (습관 형성) 목돈 굴리기 (안정성 확보)
유동성 낮음 (중도 해지 불리) 상대적으로 높음
적합 대상 사회 초년생, 저축 습관 필요자 목돈이 있는 직장인, 자영업자

4. 상황별 선택법

  • 사회 초년생: 매달 일정 금액을 모으는 적금이 적합
  • 목돈이 있는 사람: 예금을 통해 안전하게 관리
  • 목표 자금 마련: 여행, 결혼, 전세자금 등 → 적금 활용
  • 안정적 자산 운용: 당분간 쓰지 않을 여유 자금 → 예금 활용

적금과 예금을 병행하면 더 좋습니다.

매달 저축 습관은 적금으로, 이미 있는 목돈은 예금으로 나누는 방식이 이상적입니다.


5. 금리와 물가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요즘은 단순히 금리만 보고 선택하기보다는, 물가 상승률(인플레이션)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금리가 3%라도 물가가 5% 오르면 사실상 실질 이익은 마이너스
  • 따라서 예금·적금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일부 자금을 투자로 돌려야 함

6. 마무리

적금과 예금은 비슷해 보이지만 성격이 다릅니다.

  • 적금은 매달 돈을 모아가는 습관형 상품
  • 예금은 이미 있는 돈을 안전하게 지키는 보관형 상품

어느 쪽이 더 좋다기보다는, 내 상황과 목적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축의 기본을 다진 뒤, 투자와의 조화를 통해 더 나은 재무 습관을 만들어가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