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괴리율 (Premium / Discount)
ETF의 실제 가치(순자산가치, NAV)와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의 차이를 말합니다.
- 예시: ETF 실제 가치가 10,000원인데, 시장에서 10,200원에 거래되면 +2% 괴리율.
- 왜 생기나?: 수급 불균형, 거래량 부족, 시장 변동성 등
- 투자 시 주의점: 괴리율이 큰 ETF는 실제 가치보다 비싸게(또는 싸게) 살 수 있으므로 유동성이 높은 상품을 고르는 게 안전합니다.
괴리율이 ±1% 이내라면 큰 문제 아님 (정상 범위)
괴리율이 ±3% 이상이라면 유동성 부족, 시장 왜곡 가능성 → 피하는 게 안전
📌 투자 팁
1. 거래량 많은 ETF 선택 → 괴리율 발생 가능성 ↓
2. 공식 NAV 확인 → 증권사 HTS/MTS에서 ETF 괴리율 항목 체크 가능
3. 급등 테마 ETF 조심 → 갑자기 수급 몰리면 괴리율 크게 벌어짐
2. 총보수율 (TER, Total Expense Ratio)
ETF를 운용하는 데 들어가는 모든 비용을 연간 비율로 나타낸 수치입니다.
- 구성: 운용보수 + 사무관리비 + 기타 비용
- 특징: 장기 투자에서는 작은 보수 차이가 수익률에 큰 영향을 줌
- 예시: 보수율 0.1% vs 0.5% → 10년 후 큰 차이가 발생
📌 투자 팁
비슷한 ETF라면 보수가 낮은 상품 선택
3. 배당 (Dividend)
ETF도 주식처럼 배당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 현금 배당: 계좌로 현금 입금
- 재투자형 배당: 배당금을 자동으로 ETF에 재투자 (일부 해외 ETF에서 흔함)
- 팁: 배당금은 생활비로 활용할 수도 있고, 재투자해서 복리 효과를 누릴 수도 있습니다.
📌 투자 팁
현금배당형 vs 재투자형 구분 확인
4. 거래량과 유동성 (Liquidity)
ETF는 거래소에서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기 때문에 거래량과 유동성이 중요합니다.
- 거래량: 하루에 얼마나 많이 거래되는지
- 유동성: 사고팔 때 가격 차이(스프레드)가 얼마나 작은지
- 투자 시 주의점: 거래량이 적은 ETF는 원하는 시점에 매수·매도가 어렵고, 괴리율도 커질 수 있습니다.
📌 투자 팁
일평균 거래량 높은 ETF 위주로 선택
5. 추적 오차 (Tracking Error)
ETF가 추종하는 지수와 실제 수익률의 차이를 말합니다.
- 원인: 보수, 운용 방식, 현금 보유, 환율 등
- 예시: 지수는 10% 올랐는데 ETF는 9.5% 오름 → -0.5% 추적 오차
- 투자 시 주의점: 추적 오차가 적은 ETF일수록 지수를 더 충실히 따라간다는 의미
📌 투자 팁
장기 수익률이 지수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
ETF를 고를 때는 단순히 테마(예: 반도체, AI)만 보지 말고,
괴리율 · 총보수율 · 배당 · 거래량/유동성 · 추적 오차
이 다섯 가지 기본 용어를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이 다섯 가지만 이해해도, ETF 투자에서 불필요한 실수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언제나 기억하세요. 투신자판! (투자는 신중하게, 자신의 판단대로!)